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역세권이란 역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의 이용자가 거주하는 범위입니다. 보통 기차역,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반경 500m 내외의 권역을 역세권이라고 하는데요. 그만큼 교통이 편리하여 자가용을 끌지 않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고, 인프라가 잘 갖춰졌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학생, 사회초년생, 이제 막 집을 합친 신혼부부는 역세권에 집을 구하기가 현실적으로 힘듭니다. 이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서울시에서 역세권 청년주택을 만들어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서울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조건과 신청 방법을 각각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역세권 청년주택이란?
역세권 청년주택이란 다른 말로 ‘청년안심주택’이라고 하며 대중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에 청년,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 및 주거난 해소를 위해 시세 대비 저렴한 공공임대와 민간임대 주택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한 단지 내에 공공임대와 민간임대(공공지원 민간임대) 세대가 섞여있습니다. 아래에서 역세권 청년주택 유형과 임대료 수준을 간략히 정리했습니다.
구분 | 공공임대 | 민간임대 |
---|---|---|
유형 | · | 특별공급 (약 20%) 일반공급 (약 80%) |
임대료 | 주변 시세 대비 30~70% 수준 | 특별공급 : 주변 시세 대비 약 85% 일반공급 : 주변 시세 대비 약 95% |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조건
❶ 청년형
- 만 19세 이상 ~ 39세 이하
- 미혼인 자
- 무주택자 (본인만 해당하며 부모님은 제외)
- 자동차가액 3,683만 원 이내 (2023년 기준)
– 보험개발원 홈페이지 또는 복지로 포털에서 차량기준가액 조회 - 소득요건 충족 (2023 전년도 120% 기준)
– 1인 가구 4,024,660원
– 2인 가구 6,006,451원
– 3인 가구 8,061,838원
– 4인 가구 9,146,467원 - 본인 자산가액 2억 9,900만 원 이하
❷ 신혼부부형
- 만 19세 이상 ~ 39세 이하의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자 (신청자만 해당하며, 배우자는 상관 없음)
- 혼인 후 7년 이내 신혼부부 (예비 신혼부부는 입주 전까지 혼인사실 입증)
- 무주택세대 구성원 (예비 신혼부부는 무주택자)
- 자동차가액 3,683만 원 이내
- 부부합산 소득요건 충족 (2023 전년도 120% 기준)
– 1인 가구 4,024,660원
– 2인 가구 6,006,451원
– 3인 가구 8,061,838원
– 4인 가구 9,146,467원 - 본인 자산가액 3억 6,100만 원 이하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방법
❶ 공공임대
- 모집 공고 확인
- 청약 접수
- 서류심사 대상자 발표
- 서류심사 대상자 우편 제출
- 당첨자 발표
- 계약 체결
❷ 민간 임대
- 모집 공고 확인
- 청약 접수
- 당첨자 발표
- 서류 제출
- 계약 체결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계획
앞서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조건과 신청 방법을 알아봤는데요.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조건을 잘 알고 있어도 모집공고를 놓치면 신청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항상 모집공고가 언제 뜨는지 수시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아래에 현재(2023년 10월) 기준으로 곧 모집 예정인 청년안심주택을 추렸습니다. 이외에도 공급 계획은 있지만 모집공고 일정이 잡히지 않은 것들도 있으니 관심 있는 지역이 있다면 눈 여겨 보시길 바랍니다.
주소 | 인근 지하철역 | 모집공고 | 총실수 (공공임대+민간임대) |
---|---|---|---|
구로구 개봉동 403-29 | 개봉역 | 2023년 하반기 (예정) | 총 627 공공 162 + 민간 465 |
서초구 양재동 산17-7 | 양재역 | 2023년 하반기 (예정) | 총 374 공공 125 + 민간 249 |
은평구 불광동 302-13 | 연신내역 | 2023년 하반기 (예정) | 총 299 공공 71 + 민간 228 |
관악구 신림동 240-3 | 서림역 | 2024년 (예정) | 총 413 공공 75 + 민간 338 |
중랑구 상봉동 109-28 | 상봉역 | 2024년 (예정) | 총 782 공공 295 + 민간 487 |
중랑구 상봉동 118-8 | 상봉역 | 2024년 (예정) | 총 299 공공 102 + 민간 197 |
영등포구 신길동 3608 | 신풍역 | 2024년 (예정) | 총 576 공공 70 + 민간 506 |
지금까지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 조건 및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역까지 도보 5~10분 만에 갈 수 있는 역세권은 누구나 살고 싶을 것입니다. 그만큼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자가 많아서 경쟁률도 높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요즘은 점점 1인 가구가 많아지기도 하니까요. 그래도 공급되는 곳이 많으니 관심 있는 지역에 공고 계획이 있다면 놓치지 말고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을 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엔 더 유익한 글로 돌아오겠습니다 🙂
▍ 당신에게 추천하는 글
-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조건 9가지 및 최대 한도, 금리 기준
- 주택도시기금 신혼부부 전세대출 종류 5가지 (소득, 금리 등)
- 주택 임대소득세 계산기 공식 및 신고 안하면 받는 불이익
- 단기임대 전입신고 여부 및 주의사항 20가지 (ft. 단기임대 뜻)
- 주택청약통장 담보 대출 추천 7가지 (금리, 한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