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보험 단점 및 종신보험 차이 (ft. 정기보험이란?)


정기보험 단점,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보험이란 미래에 예측할 수 없는 일에 대비하여 생긴 제도입니다. 여러 보험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생명보험은 사람의 생명 또는 건강과 관련하여 우발적으로 발생하는 위험에 경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데요. 생명보험은 크게 종신보험과 정기보험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기보험이란 어떤 것인지 정기보험 종신보험 차이까지 알아본 후, 정기보험 단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1. 정기보험이란?
  2. 정기보험 종신보험 차이
  3. 정기보험 단점 및 장점

두 손 안에 놓인 사람 모양의 종이

정기보험이란?


정기보험이란 사망보험 중 보험기간이 일정기간으로 한정된 생명보험입니다. 정기보험은 피보험자가 보험기간 중에 사망한 경우에만 보험금을 지급하고, 보험기간 만료 시까지 생존한 경우엔 보험금 지급 없이 계약이 만료됩니다.

정기보험이란 일반적으로 보험기간이 1년, 3년, 5년으로 해마다 갱신됩니다. 미국에서는 내구 소비재와 소비자 신용의 발전과 더불어 소비자 신용 생명보험으로서 정기보험이 미지급 부분의 보증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생명보험이란 말 그대로 피보험자의 생명을 담보로 하는 보험 상품입니다. 피보험자가 생명을 잃으면 미리 지정한 수령자에게 보험금이 지급됩니다.



정기보험 종신보험 차이


앞서 정기보험이란 보험기간이 일정기간으로 한정된 생명보험이라고 했는데요. 종신보험은 보험기간을 한정하지 않고 피보험자가 사망할 때까지 평생에 걸치는 것이 특징입니다.

즉, 정기보험 종신보험 차이는 보험기간의 한정 여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종신보험은 피보험자가 사망하면 보험금을 100% 지급하며, 자살 등의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사망 시기 및 원인에 상관없이 보험금을 지급합니다.

종신보험은 유형에 따라 일반종신보험, 변액종신보험, 변액유니버셜종신보험, 저해지종신보험, 해지환급금미보증종신보험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사망보험이긴 하지만 정기보험과 달리 매년 책임준비금이 누증되는 등 저축 기능도 있어서 사망 보장뿐만 아니라 노후의 생활자금으로도 유용합니다.


지붕 모양의 나무 블럭과 네 가족 모양의 종이

정기보험 단점 및 장점


▣ 단점

대표적인 정기보험 단점은 생존자가 보험금을 못 받는다는 것입니다. 보험자의 책임과 시기와 종기가 일정기간을 표준으로 하기 때문이죠. 쉽게 말해서 보험기간 중에 사망하지 않는다면 보험금을 못 받습니다. 꼬박꼬박 보험료를 납부했어도 보험기간 중에 보험금을 받지 못한다는 것은 크나큰 정기보험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곧 죽음에 다다른 말기 병 환자나 호스피스 병동에 머무르고 있는 환자라면 오랫동안 종신보험을 들며 보험료를 납부하는 것보다 일정기간 계약되어 있는 정기보험이 나을 수 있습니다.


▣ 장점

정기보험이 종신보험과 사망 보장금액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정기보험의 보험료가 종신보험의 보험료보다 약 3배 가량 저렴합니다. 왜냐하면 정기보험의 보장기간이 한정기간만 보장하기 때문에 평생 보장되는 종신보험보다 저렴한 것이죠.

쉽게 말하자면 정해진 기간에만 사망 보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위험에 따라 집중 보장을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장의 소득이 가장 높을 때 가장이 사망한다면 가계가 위험해질 수 있는데요. 이때 적은 가격으로 정기보험에 가입한다면 이 기간동안 집중 보장 받을 수 있으므로 종신보험에 비해 훨씬 효율적입니다.



지금까지 정기보험 종신보험 차이, 정기보험 단점 등을 알아봤습니다.

생명보험은 사람의 사망 또는 일정 나이까지 생존 시 약정한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입니다. 이 보험은 노후 생활비, 사망 후 유가족의 생활 보호를 위한 자금 등을 마련하기 위해 이용되는데요. 정기보험 단점과 장점이 워낙 명확하기에 개인의 상황에 맞춰 어떤 것이 효율적인지 잘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엔 더 유익한 글로 돌아오겠습니다 🙂




▍ 당신에게 추천하는 글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