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더멘탈이란? 주식 투자에서의 뜻과 분석 지표


펀더멘탈이란 어떤 뜻일까요?

경제지표란 경제 활동을 분야별로 가늠할 수 있는 통계입니다. 즉, 경제 활동을 나타내는 지표적인 통계인데요. 이를 토대로 현재의 경제 상황을 알 수 있고, 미래의 경제 변화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한 국가의 경제 상태를 표현할 때 펀더멘탈이란 용어를 쓰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펀더멘탈이란 뜻을 알아본 후, 주식 투자에서의 펀더멘탈 뜻과 펀더멘탈 분석 지표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1. 펀더멘탈이란?
  2. 주식 펀더멘탈 투자 뜻
  3. 펀더멘탈 분석 지표

상승하는 4개의 화살표 그래프

펀더멘탈이란?

Fundamental


펀더멘탈이란 한 국가의 경제 상태를 표현할 때 가장 기초가 되는 자료인 성장률, 물가 상승률, 실업률, 경상수지 등의 주요 거시경제지표입니다. 원래 펀더멘탈이란 영어 단어는 ‘기본적인’, ‘근본적인’이라는 의미입니다. 이 단어가 경제 분야에서 쓰이면 ‘경제 기초’가 되는 것이죠.

펀더멘탈이란 주로 환율 변동과 관련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중장기적으로는 환율이 펀더멘틀즈의 상태에 영향을 받지만, 단기적으로는 펀더멘탈의 변화를 예상하고 변동합니다.

게다가 펀더멘탈은 국제경제 안정에 필요한 기초 조건이기도 합니다. 펀더멘탈이 균형이 붕괴되면 각 국간이 통화가치의 변동이 생기고, 세계경제는 안정을 잃을 수 있습니다.

현재의 펀더멘탈이란 개념으로 사용된 것은 1978년 7월의 본 서미트(선진 7개국 정상회담) 이후입니다. 이 회의에서 일본과 서독은 국제경제 안정을 위해 미국이 달러정책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미국의 카터 대통령은 각국의 경제성장 정책, 인플레이션 억제, 국제수지 균형이 유지가 중요하다면서 펀더멘탈론을 펼쳤습니다.



주식 펀더멘탈 투자 뜻


그렇다면 펀더멘탈이란 주식 시장에서 어떻게 쓰일까요?

앞서 펀더멘탈은 ‘기초적인’ 또는 ‘근본적인’이라는 의미라고 했는데요. 이 의미가 그대로 사용되어 주식 투자에서의 펀더멘탈은 종목의 기초적인 정보를 의미합니다. 판매 동향, 투자 계획 등이 이에 해당되죠. 이러한 것들을 분석하는 것이 기본적 분석이고, 차트나 수급을 바탕으로 판단하는 기술적 분석과 함께 종목을 선정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국내 증시의 펀더멘탈이 양호하다고 하는 것은 국내 증시를 이루는 종목들의 펀더멘탈이 양호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우리나라 증시에 상장한 기업의 주식들이 투자할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주식 그래프 홀로그램을 띄운 태블릿

펀더멘탈 분석 지표


펀더멘탈 분석가는 수요, 공급을 분석합니다. 참고로 공급은 생산, 비축된 자산의 양이고 수요는 소비되는 자산의 양인데요. 펀더멘탈 분석가는 수요, 공급 자료를 분석합니다. 이는 실물상품 시장에서 생산량과 사용량의 예측 수치가 중요한 자료가 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펀더멘탈 투자자가 되고 싶다면 자산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평형점 또는 가격을 산출할 수 있는 수요와 공급의 관계를 이해해야 합니다. 최종적으로 현재 시장 가격을 이해하고,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시장의 미래 가격을 예측해야 합니다.

펀더멘탈에 기초하는 투자자는 아래와 같이 3가지를 분석합니다.


❶ 공급 부족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태입니다. 이는 상승장세와 더 높은 가격을 의미합니다.


❷ 공급 과잉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태입니다. 이는 하락장세와 더 낮은 가격을 의미합니다.


❸ 시장 균형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상태입니다. 이는 안정적인 상태와 중립적인 가격을 의미합니다.



지금까지 펀더멘탈이란 뜻과 펀더멘탈 분석 지표 등을 알아봤습니다.

참고로 산업, 기업에서 쓰이는 펀더멘탈은 자체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능력 및 가치, 잠재적 성장성 등을 의미합니다. 특정 산업의 펀더멘탈이 양호하다는 것은 해당 산업이 돈을 잘 벌어들인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주식 투자 시 펀더멘탈 지표도 보며 종목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엔 더 유익한 글로 돌아오겠습니다 🙂




▍ 당신에게 추천하는 글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