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뜻과 2023 세계 GDP 순위 TOP 50 (ft. GNP 차이점)


GDP 뜻, 함께 알아볼까요?

한 국가의 경제 지표를 나타내는 용어인 GDP!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한 번쯤 들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현재 전 세계 GDP 순위에 따르면 1위 미국, 2위 중국, 3위 일본이며 대한민국은 10위에 선정되어 있습니다. 한 나라의 성장률 또한 GDP라는 지표로 따져봐야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GDP 뜻을 먼저 알아본 후, GDP GNP 차이점과 세계 GDP 순위를 각각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1. GDP 뜻
  2. GDP GNP 차이점
  3. 2023년 세계 GDP 순위

GDP 그래프 일러스트

GDP 뜻


GDP 뜻은 국내 총 생산을 뜻하며, 국적을 불문하고 우리나라 국경 내에서 이뤄진 생산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국내를 포함하고 대부분의 국가 생활 수준과 경제 성장률을 분석할 때 GDP 지표를 사용하는데요.

좀 더 쉽게 말씀드리자면 GDP 뜻은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의 국경 안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 생산물의 시장 가치를 말합니다. 즉, 한 국가의 경제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인 것이죠. 한 국가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 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 활동에 참여해서 창출한 부가가치 또는 최종 생산물을 시장 가격으로 평가한 합계입니다.

따라서 GDP 뜻은 지표는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소득을 뜻하며, 세계은행(IBRD)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통계 조사 자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1995년 4분기부터 국가의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로 GNP 대신 GDP 뜻을 지표로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GDP GNP 차이는 무엇일까요?



GDP GNP 차이점


GNP 뜻은 국민 총 생산으로서,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 및 용역을 평가하고 난 후, 생산물을 뺀 최종 생산물의 총액입니다. 국가 내에서 생산이 이뤄졌더라도 외국인 또는 외국인이 소유한 기업에서 생산되었다면 GNP에서 제외하는 것입니다. 반대로 외국에서 생산되었더라도 내국인에 의해 생산되었다면 그 국가의 GNP로 포함합니다.

아래에서 GDP GNP 차이점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구분GDPGNP
국내 총 생산국민 총 생산
계산법한 나라의 국경 안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 생산물의 시장가치
국내 총 생산
+ 대외순수취요소소득
생산 여부국내에서 이뤄진 모든 생산활동외국인, 외국기업의
생산 활동은 미포함
*대외순수취요소소득 = 해외수취요소소득 – 해외지급요소소득

요즘처럼 국가 사이에 자본, 서비스 이동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개방화 시대에는 개인, 기업의 국적에 따른 GNP보다 GDP가 한 국가에서 일어나는 경제활동을 정확히 반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GDP는 일정 기간의 생산액이므로 생산적인 면에서 측정이 가능하고, 생산물은 생산하는 과정에 참여한 생산요소들의 소득으로 나눠지므로 요소의 소득에 대한 분배 측면에서도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GDP를 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지만, 어떤 방법으로 구해도 GDP 값은 모두 동일하게 나옵니다.


그래프와 금괴 일러스트

2023년 세계 GDP 순위


지난 2022년, 대한민국의 1인당 GDP는 전년 대비 8.2% 감소하여 중국 중에 세 번째로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지난 8월 2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세계은행(WB)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한국 1인당 GDP는 3만 2,142달러였습니다.

이 수치는 3만 4,998달러였던 2021년보다 8.2% 줄어든 수치였습니다. 감소율만 보면 주요 47개국 중 일본, 스웨덴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것입니다. 세계 GDP 순위에는 세계 경제규모 30위권 국가와 OECD 회원국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아래에서 세계 GDP 순위를 50위까지정리했습니다.

세계 GDP 순위국가 · 지역GDP
1미국26,949,643
2중국17,700,899
3독일4,429,838
4일본4,230,862
5인도3,732,224
6영국3,332,059
7프랑스3,049,016
8이탈리아2,186,082
9브라질2,126,809
10캐나다2,117,805
11러시아1,862,470
12멕시코1,811,468
13대한민국1,709,232
14호주1,687,713
15스페인1,582,054
16인도네시아1,417,387
17튀르키예 (구 터키)1,154,600
18네덜란드1,092,748
19사우디아라비아1,069,437
20스위스905,684
21폴란드842,172
22대만751,930
23벨기에627,511
24아르헨티나621,833
25스웨덴597,110
26아일랜드589,569
27노르웨이546,768
28오스트리아526,182
29이스라엘521,688
30태국512,193
31아랍에미리트509,179
32싱가포르497,347
33방글라데시446,349
34필리핀435,675
35베트남433,356
36말레이시아430,895
37덴마크420,800
38이집트398,397
39나이지리아390,002
40남아프리카공화국380,906
41이란366,438
42콜롬비아363,835
43루마니아350,414
44칠레344,400
45파키스탄340,636
46체코335,243
47핀란드305,689
48포르투갈276,432
49페루264,636
50카자흐스탄259,292


지금까지 GDP 뜻과 세계 GDP 순위 등을 알아봤습니다.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경제 성장률을 분석할 때 이 GDP 란 지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목표 경제 성장률 등을 예측할 때 GNP가 아니라 GDP로 기준을 잡고 있는데요. 올해 국내 물가 상승률이 5%를 넘었고, GDP 성장률은 2%대 초중반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하는데, 앞으로 국내 GDP가 어떤 전망을 보일지 기대됩니다.

다음엔 더 유익한 글로 돌아오겠습니다 🙂




▍ 당신에게 추천하는 글



error: Content is protected !!